2025년 3월 18일,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강한 눈과 비가 내렸습니다.

특히 강원 산지에는 최대 30cm 이상의 폭설이 기록되었으며,

수도권과 경상권 등 여러 지역에도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극저기압 레이더영상, 기상청

 

기상청 레이더

 

북극발 찬 공기가 한반도 상공으로 남하하면서 서해와 동해를 지나면서 강한 강수와 눈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강풍과 함께 대설특보가 발효되었으며,

서울, 부산, 광주 등에서도 3월 중순 이후로는 보기 드문 폭설이 관측되었습니다.

 


 

극저기압(Polar Low)이란?

극저기압(Polar Low)은 극지방이나 한랭한 해역에서 형성되는 작은 규모의 강한 저기압을 의미합니다. 주로 북극이나 남극 근처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따뜻한 해수면 위에서 상승 기류가 강하게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 규모
일반적인 중위도 저기압(온대저기압)보다 크기가 작으며, 직경이 200~1,000km 정도로 비교적 국지적입니다.
수명도 짧아 하루에서 이틀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발생 지역
한랭한 극지방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을 지나면서 형성됨
북극해, 베링해, 오호츠크해, 동해 북부, 노르웨이 해, 남극해 등지에서 주로 발생
겨울철에 북극에서 찬 공기가 남하할 때 한국, 일본 주변 해역에서도 발생 가능

 

** 기상 현상
강한 바람과 폭설을 동반하며, 해안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함
천둥·번개, 돌풍이 함께 나타나기도 함
강한 바람이 불면서 선박 항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위성 관측 특징
일반적인 온대저기압과는 다르게 작고 둥근 형태
대류성 구름이 많으며, 중심부에 구름이 거의 없는 "눈(Eye)"을 가지는 경우도 있음
주로 해양 위에서 발생하여 빠르게 이동

 

기상청 자료

 


 

극저기압과 온대저기압 그리고 태풍 비교

 


 

이번 3월 18일의 강한 눈과 바람은 극저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했습니다. 이는 북극발 한랭 공기가 따뜻한 해수면과 만나 강한 대류운동을 일으키면서 전국적으로 기온을 낮추고, 강한 눈을 내리게 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극저기압은 짧은 시간 동안 강한 영향을 미치므로, 앞으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면 기상청 예보를 주의 깊게 살피고 교통과 안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시간 날씨 비구름 관찰

안드로이드 무료 설치

 

날씨위성영상 라이브 - (태풍 구름 눈 비 CCTV) - Google Play 앱

실시간으로 위성영상, 레이더영상을 확인하세요

play.google.com

 

 

이상.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웹 First Deep Field SMACS 0723  (0) 2022.07.16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 의 NGC 3324  (0) 2022.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