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8일,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강한 눈과 비가 내렸습니다.

특히 강원 산지에는 최대 30cm 이상의 폭설이 기록되었으며,

수도권과 경상권 등 여러 지역에도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극저기압 레이더영상, 기상청

 

기상청 레이더

 

북극발 찬 공기가 한반도 상공으로 남하하면서 서해와 동해를 지나면서 강한 강수와 눈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강풍과 함께 대설특보가 발효되었으며,

서울, 부산, 광주 등에서도 3월 중순 이후로는 보기 드문 폭설이 관측되었습니다.

 


 

극저기압(Polar Low)이란?

극저기압(Polar Low)은 극지방이나 한랭한 해역에서 형성되는 작은 규모의 강한 저기압을 의미합니다. 주로 북극이나 남극 근처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따뜻한 해수면 위에서 상승 기류가 강하게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 규모
일반적인 중위도 저기압(온대저기압)보다 크기가 작으며, 직경이 200~1,000km 정도로 비교적 국지적입니다.
수명도 짧아 하루에서 이틀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발생 지역
한랭한 극지방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을 지나면서 형성됨
북극해, 베링해, 오호츠크해, 동해 북부, 노르웨이 해, 남극해 등지에서 주로 발생
겨울철에 북극에서 찬 공기가 남하할 때 한국, 일본 주변 해역에서도 발생 가능

 

** 기상 현상
강한 바람과 폭설을 동반하며, 해안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함
천둥·번개, 돌풍이 함께 나타나기도 함
강한 바람이 불면서 선박 항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위성 관측 특징
일반적인 온대저기압과는 다르게 작고 둥근 형태
대류성 구름이 많으며, 중심부에 구름이 거의 없는 "눈(Eye)"을 가지는 경우도 있음
주로 해양 위에서 발생하여 빠르게 이동

 

기상청 자료

 


 

극저기압과 온대저기압 그리고 태풍 비교

 


 

이번 3월 18일의 강한 눈과 바람은 극저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했습니다. 이는 북극발 한랭 공기가 따뜻한 해수면과 만나 강한 대류운동을 일으키면서 전국적으로 기온을 낮추고, 강한 눈을 내리게 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극저기압은 짧은 시간 동안 강한 영향을 미치므로, 앞으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면 기상청 예보를 주의 깊게 살피고 교통과 안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시간 날씨 비구름 관찰

안드로이드 무료 설치

 

날씨위성영상 라이브 - (태풍 구름 눈 비 CCTV) - Google Play 앱

실시간으로 위성영상, 레이더영상을 확인하세요

play.google.com

 

 

이상.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웹 First Deep Field SMACS 0723  (0) 2022.07.16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 의 NGC 3324  (0) 2022.07.14

제임스웹의 First Deep Field 로 알려진 이영상은

46억년 전에 나타난 은하단 SMAC 0723을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12.5 시간동안 촬영한 사진.

 

이 은하단의 결합된 질량은

중력렌즈 역할을 해서

그 뒤에 있는 훨씬 더 먼곳의 은하를

확대합니다.

IMAGE: NASA, ESA, CSA, STScI

명칭은 SMACS 0723-73 (1RXS J072319.7-732735, SMACS J0723.3-7327)

거리는 42억 광년

이미지 가로 크기는 2.4 arcmin (대략 290만 광년)


반지름 42억 광년인

원의 둘레는 42 x 2 x PI = 대략 263억 광년

원의 둘레를  360도로 나눈 1도는 7천300만 광년

1도를 60으로 나눈 1분은 122만 광년

여기서 2.4 acrmin 은 

122만 광년 x 2.4 = 290만광년

 

실로 어마어마 합니다.

 


1광년은 빛으로 1년

 

1초에 30만km 

30만km x 60초 x 60분 x 24시간 x 365일 = 9조4천억 km

 

* 태양 ~ 지구 : 1억5천만km

( 1AU : astronomical units )

 

* 태양 ~ pluto : 59억km

( 39.5 au / 5,5시간 광년 )

 

* 태양 ~ Eris : 약 100억 km

( 67.7 au )

 

* 태양계의 끝자락은 명확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1광년은 63,000 au

 

from NASA https://solarsystem.nasa.gov/resources/686/solar-system-sizes/

 

실시간 비구름 관찰

무료 안드로이드앱 설치

 

 

날씨위성영상 라이브 - (태풍 구름 눈 비 CCTV) - Google Play 앱

실시간 위성 구름 영상( 한국, 한국인접국, 동아시아) 가시영상, 적외선영상, 레이더영상, 태풍, 황사,CCTV 오늘 날씨를 직접 예측하세요

play.google.com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 저기압 (Polar Low) 이란?  (0) 2025.03.19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 의 NGC 3324  (0) 2022.07.14

Carina Nebula 의 오른쪽 상단 끝자리에 위치한 NGC 3324 의 한부분을

제임스웹이 찍어 합성해서 보내온 사진입니다.

 지구로 부터 7,600광년 거리입니다. (2,300 파섹 parsecs)

이미지 가로크기 16광년.

NIRCam (근적외선카메라 near infrared camera)  촬영

Carina Nebula, NGC 3324 Credits: NASA, ESA, CSA, and STScI

 

Carina Nebula, NGC 3324 Credits: NASA, ESA, CSA, and STScI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 또는 용골자리 에타 성운(Eta Carinae Nebula) 또는 NGC 3372의 모습입니다.

이미지 가로크기 460광년.

사진의 오른쪽 상단에 반달모양의 약간 밝은 곳이  NGC 3324.

 

Harel Boren, CC BY-SA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4.0>, via Wikimedia Commons


여기가 NGC 3324

이미지 가로크기 60광년.

 

ESO, CC BY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via Wikimedia Commons


WEBB 이 보내준 사진과 비슷한 부분을 찾아 보세요

금방 찾으실 겁니다.

 

마지막으로

허블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3244도 비교를 위해 올려봅니다.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실시간 비구름 관찰

무료 안드로이드앱 설치

 

날씨위성영상 라이브 - (태풍 구름 눈 비 CCTV) - Google Play 앱

실시간 위성 구름 영상( 한국, 한국인접국, 동아시아) 가시영상, 적외선영상, 레이더영상, 태풍, 황사,CCTV 오늘 날씨를 직접 예측하세요

play.google.com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 저기압 (Polar Low) 이란?  (0) 2025.03.19
제임스웹 First Deep Field SMACS 0723  (0) 2022.07.16

+ Recent posts